Page 13 - 201601
P. 13

이 되어가는 과정에서 하나님의 은총을 받는 방법                  적 상황으로부터 비롯된 것이 아니라 개인의 신앙체
             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첫째는 제도적 은총의 수단                 험과 경건주의 운동, 그리고 특별히 18세기 산업혁
             (Means of Grace)으로써 공중예배와 성경읽기, 성만          명으로 경제적 공황상태에 있었던 영국 사회가 교
             찬 참여, 가족기도, 개인기도, 성경공부, 속회와 금               회와 목회의 과정에서 더 깊은 기도와 성찰을 하게
             식과 절식 등을 통해 영적인 충만함을 얻을 수 있다                하였고 교회가 이념적이거나 외향적인 것에서 돌이
             고 하였습니다. 두 번째로 상황적 은총의 수단은 제                켜 실제적이고 종교적 본질의 모습을 되찾아가는
             도적 은총의 수단을 초월하는 성령의 인도로 은총                  과정에서 이루어진 개혁으로 특징지을 수 있습니다.
             안에서 자라가도록 하는 이성과 경험에 기초한 수단                   그래서 웨슬리는 4가지 신학적 중요한 표준을 이
             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선행은총을 통해 생긴 도덕                  야기하는데, 첫째는 성경이고 둘째는 전통 그리고
             법은 신앙인의 양심과 상황에 맞춰 생각하도록 하                  이성, 그리고 마지막으로 경험을 이야기합니다. 이것
             였으나 상황적 대응이 아니라 하나님, 그리스도론과                 은 웨슬리의 신학이 절대적으로 성경말씀에 근거하
             밀접한 도덕법으로서 윤리적 기준을 의미합니다.                   였음을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한 책의 사람이 되게
               둘째, 존 웨슬리 신학의 특징은 예정론(Predesti-           하옵소서”라고 기도 할 정도로 웨슬리는 성경의 중
             nation)이 아닌 만인구원론입니다. 존 칼빈의 예정론             요함을 강조하였습니다. 그러나 성경 뿐 아니라 각
             은 장로교회의 중요한 신학적 특징입니다. 그에 반                 교회가 복음을 해석하고 지켜온 전통과 이성적인
             해 감리교회는 존 웨슬리의 만인구원론의 특징을                   이해 그리고 개인의 신앙체험으로서의 경험을 추가
             가지고 있습니다. 즉 하나님은 모든 사람을 구원하                 하여 한쪽으로 치우칠 수 있는 신앙의 중심을 잡으
             고자 하신다는 것입니다. 이 만인구원론은 웨슬리                  려고 하였습니다.
             신학의 구원론의 시작에서부터 나타나는데 그것은                     마틴 루터의 95개조 신조문으로 시작된 개신교
             ‘선행은 총’(Grace of Predestination)입니다. 이 선행은  (Protestant Church)의 역사는 존 웨슬리의 감리교 운
             총은 모든 사람에게 주시는 하나님의 은총이며 이                  동으로 개혁의 단계를 한층 높이게 되었습니다. 그
             로 말미암아 사람들은 하나님께로 나올 수 있게 됩                 리고 이제 곧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할 만큼 긴
             니다. 그리고 자신의 죄를 회개하고 예수 그리스도                 세월이 흐르게 되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를 믿음으로 고백하면 누구든지 칭의, ‘의롭다 하심’               이 역사를 통해 오늘 우리의 모습을 비추어보고 또
             을 얻어 구원에 이를 수 있게 됩니다. 구원의 은총                다른 종교개혁의 필요성이 대두되지 않도록 믿음의
             을 받은 성도들이 거룩한 성도가 되기 위해 성화의                 중심과 신앙의 전통을 지켜가는 것이라 하겠습니다.
             과정을 끊임없이 이루어 가 결국 완전한 그리스도인                 마틴 루터와 존 칼빈이 교회의 잘못 해석된 신학적
             이 되는 것입니다. 존 웨슬리의 구원론은 이렇게 짧                주장의 바로잡음에서부터 종교개혁이 시작되었다고
             게 몇 줄로 설명하기엔 턱없이 부족하고 혹 오해를                 한다면, 존 웨슬리는 교회가 마땅히 해야 할 경건함
             유발할 수 있으므로 기회가 되면 깊이 공부하시길                  을 이루고 신앙의 공동체를 이루기 위한 방향과 목
             바랍니다.                                       표를 새롭게 제시한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
               셋째, 존 웨슬리의 신학은 그의 설교를 통해 선포               것은 교회가 단순히 칭의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되어졌고 조직화되었습니다. 즉 웨슬리 신학의 특징                 성화를 이루기 위한 공동체가 되어야 하고 결국 모
             은 마틴 루터나 존 칼빈과 같이 교리적인 연구를 통                든 이들을 구원하기 위한 하나님의 도구로 쓰임받
             해 이루어진 것이 아닌 목회와 설교를 통해 그리고                 기 위한 것이라 하겠습니다.
             경건주의 운동을 통해 만들어지고 정립되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오늘날 우리 교회를 되돌아 보아
             그렇기 때문에 만인구원론도 성화의 중요성도 강조                  야 합니다. 종교개혁 500주년을 기념하며 기뻐할 것
             되고 발전되게 된 것입니다. 웨슬리의 경건주의 개                 이 아니라 먼저 현재 우리의 모습을 살펴보아야 합
             혁운동은 종교개혁 1세대의 신학적 논쟁이나 정치                  니다.

                                                                                                 11
                                                                                     2016 / 1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