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20250102
P. 17
분량의 강의가 있었습니다. 요즘 주변에서 암 겟세마네 동산에서 주님은 “내 아버지여 만
으로 고통 받는 분들을 접하는 것이 어렵지 일 할 만하시거든 이 잔을 내게서 지나가게
않기에 참가자 모두는 나와 가족의 일로 생 하옵소서. 그러나 나의 원대로 마시옵고 아버
각하며 진지하게 집중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지의 원대로 하옵소서.”라고 기도하시고 이후
두 번째 기도에서 죽음에 대한 인간적인 고뇌
저 또한 5년 전 암으로 소천한 큰 누나의 경 와 고민을 가지고도 결국 죽음에 대한 아버
험이 오버랩이 되면서 “아! 그 땐 이렇게 했 지의 주권을 인정하십니다.
어야 하는구나!”라는 후회도 들었습니다. 임
종을 받아들이고 준비해야 하는 시점에 대 우리는 누구나 주님이 부르시면 바로 주님께
학병원 의료진으로부터 호스피스 완화 치료 나아가야 합니다. 죽음에 대한 아버지의 주
를 권유받게 되었는데 극심한 통증으로 힘들 권을 인정하고 주님의 부르심에 바로 주저함
어 하는 누나를 보면서도 호스피스를 거부 없이 반응하기 위해 저는 제 삶을 자주 정리
하였습니다. 호스피스는 죽으러 가는 곳이고 하고 정산하려고 의식합니다.
받아들이는 순간 죽음을 인정하는 것만 같
았습니다. ‘호스피스는 죽으러 가는 곳이 아니라 사는
날까지 존엄성을 지키고 잘 살면서 마무리하
“십자가에서 피를 쏟으신 주님의 고통을 조금 기 위한 총체적 도움을 받는 곳입니다.’
이나마 알게 하셨습니다. 이제 준비해 두신
주님 곁으로 누나를 데려가 주세요.”라고 기 ‘아는 만큼 이해하게 되고, 이해하는 만큼 사
도하면서도 현실에서는 죽음을 받아들이기 랑하게 되고, 사랑하는 만큼 기도하게 되고,
어려웠습니다. 기도하는 만큼 봉사하게 된다.’
담임목사님도 설교에서 죽음이라는 현상은 호스피스의 진정한 의미를 알게 해 주시고 이
명확성으로 인해 두렵고, 모호성으로 인해 해, 사랑, 기도, 봉사의 자리로 인도하시는 주
불안함을 준다고 말씀하셨는데 철저하게 제 님께 감사드리고 준비해 주신 모든 손길에도
게 적용되었던 경험이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2025 / 1·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