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 - 20241112
P. 15
문화나들이 9
19세기와 20세기의 성화
손기연 권사
성화는 기독교 신앙과 상징을 표현하는 중요 력하게 됩니다. 그렇게 그려진 작품들은 신흥
한 예술 형태로, 오랜 세월 동안 서양 미술에 부자들을 중심으로 이미 형성된 미술 시장을
서 중심적인 역할을 해왔습니다. 유럽 여행을 통해 판매되었습니다. 이런 새로운 패러다임
하다 보면 로마 시대로부터 이어지는 다양한 은 자연스럽게 작품의 주제에도 영향을 미칩
성화나 성서 조각을 접하게 되는데, 사실 19세 니다. 그래서 점차 종교적인 그림보다는 생활
기 이후의 작품을 주로 소장하고 있는 현대 미 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일상의 사람과 풍경
술관에서는 성화의 흔적을 찾기가 쉽지는 않 을 그린 그림들로 그 주제가 다양해졌습니다.
습니다. 이러한 성화들의 전통은 사라져 버린 새로운 주제와 시도에 목말라 있었던 화가들
것일까요? 19세기와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예 은 관객에게 충격을 줄만한 참신한 그림을 그
술가들은 성화를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리기 원했음에도 불구하고 19세기, 20세기 작
새로운 시각과 접근법으로 재해석하기 시작했 가의 작품 목록에 다수의 성화가 포함된 것을
습니다. 이 시기에 다양한 미술 운동이 일어나 보면, 그들의 삶에 깃든 기독교적 오랜 전통을
면서, 성화의 형식과 내용이 크게 변화하고 혁 완전히 벗어버릴 수는 없었던 것 같습니다.
신되었습니다.
19세기 : 자연주의와 종교적 경건함
18세기 중반부터 시작된 산업 혁명은 아카데
미 중심의 전통적인 미술에서 현대적인 미술 19세기 중반의 바르비종파(Ba rbizon
로의 변화를 촉진시키는 사회적 배경을 형성 School)는 자연 풍경을 주제로 삼으면서도, 종
하게 되었습니다. 귀족의 몰락, 시민 의식의 대 교적 경건함과 숭고함을 자연 속에서 찾으려는
두, 인본주의, 자유 의지의 존중으로 화가들 시도를 했습니다. 대표적인 화가 장 프랑소아
은 교회나 황제, 부유한 귀족의 청탁에 의해 밀레는 <만종, 1857-1859>에서 농부들의 일상
제작되었던 과거의 방식에서 벗어나, 자유 의 속 기도를 통해 종교적 분위기를 전달하며, 자
지에 따라 자신의 내면을 표현을 하는데 주 연을 배경으로 신앙의 경건함을 표현했습니다.
2024 / 11·1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