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 - 20241112
P. 14

정동교회 초창기 제단 의자              가츠이 채플 제단 의자              삿포로 교회 제단 의자



               부터 가츠이 여학교 미술과 교사를 지낸 나카                 대화재로 인한 교회 소실과 재건(1904년) 부

               오 유키에(中尾幸枝)라는 것이다.         9)            분을 정리하고 있고 강대상 및 제단에 관한 역
                                                        사적 사실을 계속 연구 조사 중이라고 한다.
               이화학당의 4대 학당장이었던 룰루 E. 프라이

               (Lulu Frey)의 서간문 모음에 의하면 그는 나            강대상에 관해 세 곳이 비슷한 시기에 관심을
               가사키 방문 시 나카오 교사와 빈번하게 교류                 갖게 된 것은 우연이 아니며 여기에도 하나님
               하였으며 편지도 주고받는 사이였던 것으로                   의 뜻이 있으리라 믿는다. 제단을 바라보며 그
               보인다.  10)                                위에 임재하시는 성령의 인도하심을 마음에 품
                                                        고 신령과 진정으로 주님을 예배하는 가운데

               야마구치 선생의 전언에 의하면 삿포로 교회                  역사편찬위원회에서는 앞으로 더 자세한 자료
               도 현재 교회사 편찬 작업과 오래된 문헌 자료                와 사료를 가츠이학원, 삿포로교회와의 협업
               의 전산 작업을 진행 중인데, 지금은 삿포로                 과 교류를 통해 밝혀 나가도록 하겠다.







                1) 감리회 통신, ‘제1 예배당의 제일 큰 풍금’, 기독신보, 1918. 8. 21
                2) 한국공업의 스승, 한국 기계 기술의 개척자 그레그 (具禮九), 밀알북스, 2024, 임연철
                3) 정동제일교회 125년사, p. 356, 제1권 통사편, 2011년, 오영교
                4)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의 역사 (1886~2002),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03
                5) The Oregon Daily Journal (Portland, Oregon) · 13 Dec 1919, Sat · Page 14
                6) 한국 양악 100년사 수상집 5집, '토착화와 현대화', 삼익악기 사보 8월호, 1986
                7) 기억하고 싶은 선구자, 한상우, 지식산업사, 2003
                8) 나의 교유록; 원로여류가 엮는 회고 <127> 정동교회, 1981. 07. 07, 채선엽, 동아일보 7면
                9) 「歴史に学ぶ一美術科教師•中尾幸枝」, 朝の礼拝から1, 服部康喜 (現代日本文化学科)
                10) 정동의 봄, 룰루 프라이의 편지 1893~1921,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문화원, 2024, 정덕애, 최주리 편역


            14 CHUNGDONGSEM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