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 - 20241112
P. 12
한국 최초로 설치된 오르간의 연주자로 활동 줄리아드 음대로 유학을 떠났는데 아마 이때
하게 된 메리 영 선교사는 1920년부터 우리 까지 우리 교회의 파이프 오르간을 연주하였
교회의 파이프 오르간을 연주하였던 것으로 을 것이다. 7)
추측할 수 있다.
지금 우리는 최초 설치되었던 오르간의 소리
‘한국 양악 100년 사’ (나운영)에서는 정동교 를 들을 수는 없지만 당시의 파이프 오르간 연
회의 한국인 최초의 파이프 오르가니스트를 주 소리에 대해 이화여자대학 음악대학장을
김애식(김앨리스 혹은 정애식)으로 기록하고 역임하시고 우리 교회 원로 장로이셨던 故 채
6)
있다. 김애식은 이화학당 대학부의 1회 졸업 선엽 장로는 1981년 7월 7일 자 동아일보 회고
생(1914)인데 졸업 이후 일본 나가사키에 있 록에서 ‘20대의 성가대원 시절, 메리 영 선생
는 가츠이(活水)여학교 - 강대상과 성구를 보 의 지휘와 김영의 선생의 반주로 연주되던 파
내 주었던 바로 그 학교 - 음악부를 1917년에 이프 오르간의 소리는 사람의 영혼에 호소하
8)
마쳤고 1921년 10월부터 1923년 7월까지 미국 는 듯한 소리였다’고 기술하였다. 이후 1950
오레곤주 포틀랜드에 있는 엘리슨 화이트 음 년 한국전쟁으로 파이프 오르간이 소실될 때
악학교 (Ellison-White Conservatory)에서 까지 누가 반주를 하였는지에 관한 기록은 찾
유학하며 피아노를 전공하였다. 그는 파이프 을 수가 없다. 그러나 살펴본 바와 같이 한국
오르간이 설치된 1918년 가을부터 미국으로 의 현대 음악사에서 중요한 인물들이 우리 교
유학을 떠나기 전인 1921년 9월까지 파이프 회의 역사와 함께하였다는 사실에 자부심과
오르간을 연주하였을 것으로 예측된다. 우리 함께 한국 최초의 서양식 예배당 건물인 벧엘
교회의 파이프 오르가니스트였던 두 사람은 예배당에 복원된 한국 최초의 파이프 오르간
김애식이 이화 여자전문학교 대학부 음악과 을 통해 우리의 찬송을 기쁘게 받아 주실 하
초대(1925~1926) 과장을 지냈고, 이어 메리 나님께 영광을 올려 드린다.
영은 1926년부터 1940년 일제에 의해 한국을
떠날 때까지 2대 음악과장을 역임하였다. 4) 파이프 오르간 특집 기사를 준비하던 지난 5
월에 이화여대 음대에서 파이프 오르간을 전
두 사람의 제자이며 이화여전 음악과 3회 졸 공하고 사학과 부전공으로 석사 과정을 밟고
업생이며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장과 이사 있는 한 학생이 교회로 찾아왔다. 그의 석사
장을 역임한 김영의 역시 우리 교회의 파이프 논문 주제가 한국 파이프 오르간에 대한 역사
3)
오르간 반주자였다는 기록이 있다. 그는 피 를 찾는 것이라고 하여 많은 대화를 나누고 자
아노 전공자였으나 세브란스 병원 치과 의사 료 수집에 도움을 주기로 하였다. 앞으로 이런
인 부츠 박사(John L. Boots)의 부인 플로렌 연구자들을 통해 3~40년대 파이프 오르간의
스 부츠(Florence S. Boots)로부터 정동교회 연주자 확인을 비롯한 우리 교회 역사의 여러
의 파이프 오르간을 이용하여 부전공으로 파 순간들이 많이 소개되고 전파되어 하나님께
이프 오르간을 배웠다고 한다. 이후 정동교회 서 정동을 통해 하신 일들이 널리 알려지게 되
에서 연주와 반주를 하던 그는 1935년 미국의 기를 바란다.
12 CHUNGDONGS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