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 - 201603
P. 20

책이 보인다 세상이 보인다







                      『환승역』












                                                                                        변은숙 집사




           오늘날 한국 교회에서는 대부분 영성과 기독교에                   이 책을 통해서 주인공 앨리처럼 적극적으로 세상
          관련된 이야기를 나누고, 사회에 나가면 자기개발,                  과 부딪치면서 새로운 자아를 형성하는데 조금이나
          성공 스토리, 정치 등을 토론하지만, 실패한 사생활                 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나 이혼에 대해 드러내놓고 말하는 경우는 드물                     20세기 초의 미국인 소설가 캐스린 포브즈가 한

          다. 안으로 곪아 터져도 겉으로는 우아한 척, 고상                 이민 가정의 시련과 애환을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
          한 척하는 경우가 얼마나 많은가. 아동학대에 대한                  로 쓴 글이다. 부모님의 이혼으로 인해, 엄마에게는
          뉴스를 늘 접하고 있는데, 정말 우리가 기독교인으                  앨리, 아빠에게는 앨리스라고 불리는 정체성의 혼란
          로서 그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생각해봐야                    에 빠졌던 우울한 상황 속에서도 언제나 밝게 살아
          한다. TV에서는 아이들을 키우기 위해서 한 마을이                 가는 ‘앨리’의 유쾌 발랄한 성장기다. 이 책은 어린
          필요하다고 이야기 한다.  여기 소개하는 글에서는                  이 동화라기 보다는 어른을 위한 소설이다. 작가는
          한 아이가 조그만 하숙집이라는 공동체에서 커가                    어린 아이의 시선을 통해 해체된 가정 속에서 자라
          는 성장소설이지만, 결손 가정의 아이들도 우리 공                  온 자신의 삶에 비추어 그래도 인생은 희망적이고
          동체로 끌어들여 모두가 함께 키워야 하지 않을까                   따뜻함이 존재한다는 긍정적인 면들을 독자들에게
          싶다.                                          전해주고 싶어 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예전과 달리 시대가 변화되어                     10살 꼬마 주인공은 오늘도 전차를 무임승차하
          우리 주변에 점점 증가하는 한부모 가정 아이들과                   기 위해 당돌한 행동을 서슴지 않는 천진난만한 아
          겉으로는 정상적으로 보이겠지만, 폭력적인 부모에                   이다. 물론 차비는 있지만, 군것질을 사먹기 위해 운
          게서 제대로 사랑을 받지 못하는 아이들을 떠오르                   이 좋은 날엔 무임승차를 하고, 반대로 예리한 눈을

          게 한다. 이러한 해체된 가정에서 부모의 보호를 받                 가진 검수원에게 걸리는 날엔 군것질을 포기하거나
          지 못한 아이들은 세상 밖으로 나와 주변사람들의                   무안을 당하면서 전차에서 내려 다음 전차를 기다
          편협한 시선을 견뎌야 하고, 또래집단에서 왕따를                   려야만 한다.
          당하기 때문에 상처받지 않기 위하여 거짓말을 하                     아빠의 죽음, 할머니의 죽음, 바쁜 엄마의 부재로
          기도 한다. 불우한 환경을 견디지 못한 청소년들은                  인하여 주변의 유혹과 실수를 통해 조금씩 성장통
          일탈하거나 스스로 사회로부터 격리되어 꿈과 인생                   을 겪지만 앨리는 어른들이 시키는 대로만 하지 않
          을 포기하고 부끄러운 인생을 살아가기도 하는데,                   고 스스로 최선을 다해 난관을 극복해 가는 모습을

       18         2016 / 3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