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 - 201603
P. 21
보이기도 한다. 가올 미래에 희망이 없다고 단정할 수도 있다. 하지
앨리의 엄마와 로티 이모가 운영하는 가난한 하 만 인생이란 예수님처럼 어려운 환경에서 태어났음
숙집에는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한다. 어려움 속에 에도 불구하고 용기를 가지고 스스로 배우면서 올
서도 자존심을 지키고 살아가는 사람들, 한 푼 두 바른 길을 찾아가는 것이 아닌가.
푼 모아 성실하게 살아가는 사람들, 허세와 허영으 책의 제목인 ‘환승역’은 불우한 환경, 또는 실수나
로 욕망을 쫓는 사람들…. 모험심 많은 앨리는 모든 실패 등을 통해 어려움을 겪은 후, 한번쯤은 갈아
하숙인들에게 호기심이 많았다. 그 중에서도 하숙 탈 수 있는 인생의 전환점을 암시하는 중요한 의미
인 비스켈이 경영하는 연기학원에서 제리라는 친구 의 장소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결국 우리의 인
를 만나 연기를 함께 배우면서 자신에게도 남들보 생은 한쪽 방향으로 계속 달려가는 것이 아니라, 때
다 조금은 특별한 재능이 있음을 새로이 깨닫게 된 로는 환승하는 곳이 있어 그곳에서 올바른 방향을
다. 병든 와이프를 둔 비스켈은 처형이었던 미니를 찾아갈 수 있는 선택의 여지가 있는 것은 아닐까 싶
이용만 하고 멀리 떠났다가 중풍에 걸려 돌아오자, 다. 인생이란 어느 누구도 항상 순조롭고 평탄할 거
바보처럼 착한 미니가 그를 돌보는 줄 알았는데 굶 라고 장담할 수는 없다. 때로 위기와 어려움 그리고
어죽도록 내버려둔 사실을 알고서 예상치 못한 어 고통의 순간이 갑자기 우리를 덮치기도 하지만 그때
른들의 세계를 알게 된 후, 앨리는 조금씩 자신의 마다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앨리의
호기심을 억누르는 법을 배우며 성장해간다. 현실 삶은 혼란 가운데서 올바른 길을 찾고, 어둠 속에서
과 이상 사이를 서성이며 욕망을 쫓다 죽어간 비스 빛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본다. 이 책에서 주인공
켈도 있지만, 불쌍한 미니는 비스켈로부터 배신을 앨리의 힘겨운 성장기를 통해 희망의 메시지가 우리
당하여 모든 돈을 잃고 새출발하면서 좌절과 상처 모두에게 가슴깊이 전해지기를 기대한다.
로부터 벗어나고 싶어 한다. 앨리의 눈을 통해서 본
어른들은 남을 속이며 옳지 않은 방법으로 살아가
는 이기적인 사람들이 있는 반면에, 성실하게 살아
가는 사람들도 존재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주인공
앨리는 이런 어른들의 모습에서 자신의 운명을 어
떻게 받아들이고 주어진 환경에서 어떤 희망을 가
지고 살아갈지를 배운다.
『환승역(Transfer Point)』은 소설의 모티브인 ‘무임
승차’로 시작해서 앨리의 정체성을 찾아 성장통을
겪은 후 어른스럽게 책임의식을 치루는 ‘유임승차’로
끝을 맺는다. 누구나 똑같은 삶을 살지 않으므로
인생의 전환점은 다를 수 있고, 자신이 원하는 방향
으로만 가지 않기 때문에 자의든 타의든 힘든 상황
이 닥치면 현실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지 못해 방
황하는 청소년들도 적지 않을 것이고, 자신에게 다 캐스린 포브즈, 『환승역』, 반디출판사
19
2016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