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 - 201603
P. 23

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리스도인이
             되었다 함은 그가 하나님의 창조계
             에서 일하면서 하나님이 각자에게
             나누어주신 재능을 사용할 자유
             를 향유한다. 그러므로 예술적 재

             능을 받은 사람은 그것을 사용해야
             한다. 주님이 이러한 은사를 주시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바울은 고린

             도전서  12:12~27에서  기독교공동체
             를 ‘그리스도의 몸’이라고 이야기한
             다. 그 안에서 각 지체가 고유한 기
             능을 행사한다. 사람에 따라 음악
             을 연주하기도 하고 초상화를 그리                  반 고흐, ‘감자먹는 사람들’ 캔버스에 유채. 1885, 암스테르담 반 고흐 미술관

             기도 하며 또한 동작을 사진에 담
             기도 하고 글을 쓰기도 할 것이다.
             바로 이들이 예술가들이다. 그들도

             하나님의 가족 내에서 정당한 위치
             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스도의 삶과
             부흥과 각성을 표현하고 증거하는
             데에는 예술적인 일을 하도록 부름
             받은 지체들이 없이는 불가능하다.

               이같은 예술적 재능을 부여받은
             한 사람인 반 고흐는 네덜란드에서
             1853년에 태어났다. 목사와 화상을

             배출한 집안의 영향으로 헤이그와
             런던의 구필화랑에서 화상수업을
             받기도 했다. 목회자의 길을 가기로                 밀레, ‘만종’, 캔버스에 유채, 1857~1859, 오르세 미술관
             결심하고 성서에 몰입하였지만 신
             학교 시험에 실패한 후 보리나주 광산촌에서 성서를 가르치며 광부들을 모델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

             다. 그 후 실연의 아픔, 생활고, 친구들의 버림 등으로 정신발작을 일으켜 정신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기도 하였으나 1890년 결국 자살함으로 고독한 삶을 마감하게 된다. 반 고흐가 남긴 불멸의 명화는
             드라마틱하고 비극적인 삶에 대한 연민과 더불어 오늘날까지 수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감동을 남기고

             있다.

                                                                                                 21
                                                                                     2016 / 3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