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 - 201509
P. 12

문화 나들이

              미술로 본 문화나들이 3

                  렘브란트

                                                                                      김창곤 장로
                                                         조각가/홍익대학미술대학 조소과 겸임교수

   “그리스도인의 삶 자체보다 더 중요한 예술 작품은                           의도하는 회화적 효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결과로
있을 수 없으며 모든 그리스도인은 각기 이러한 의미                             그는 ‘근대적 명암의 시조’란 이름을 듣게 되었다.
에서 예술가가 되도록 소명을 받았다. … 이러한 의미                            또 그는 북부 유럽 동판화의 대가로서 약 300점의
에서 그리스도인의 삶은 예술 작품이어야 한다. 상실                             걸작을 남겼으며, 이 동판화만으로도 그는 세계 미
과 절망으로 허덕이는 세계에서 그리스도인의 삶은 진                             술 사상 최대의 화가로 인정된다.
리와 아름다움으로 빚어져 가는 삶이어야 한다.”
                                                           30대의 전성기를 제외하곤 평생을 살갗을 도려
                                               -프란시스 쉐퍼  내는 듯한 ‘혹독한 시련의 강추위’ 속에서 지새웠
                                                         다. 그의 가련한 생애는 그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
  렘브란트 하르먼손 판 레인(네덜란드어 : Rembrandt                       에게조차 연민을 불러일으킨다. 사업의 성공과 실
Harmenszoon van Rijn, 1606. 7. 15~1669. 10. 4)은 바로       패, 사랑과 이별, 꼬리를 물고 이어진 가족의 죽음
크 시대의 네덜란드 화가이다. 일반적으로 유럽 미                              은 냉랭한 전기(傳記)작가에게 아무런 감흥도 일으
술사에서 가장 위대한 화가이자 판화가 중 한 사람                              키지 못할지 모르지만 한 번이라도 질곡과 애환을
으로 여겨지며 네덜란드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눈물로 견뎌본 사람이라면 충분히 공감할 수 있을
화가이기도 하다.                                                것이다. 꿈이 무참히 깨지고 계획은 산산이 무산되
                                                         어 버렸다. 또 그가 인간적으로 추구했던 것들은
  네덜란드 최고의 화가로 그의 굳은 신념은 두터                              실망으로 돌아왔다. 안전하고 통제가능하며 보장
운 신앙심에서 우러나왔기에 특히 종교화에 많은                                된 삶을 살아갈 수 있으리라는 바람은 연속된 시련
걸작을 남겼다. 남긴 작품 수는 유화, 수채화, 동판                            으로 인해 그에게 적용되지 않았다.
화, 데생 등을 포함하여 2천여 점이나 된다. 성서,
신화, 역사, 풍경, 풍속, 위인 등 각 방면에서 광범                             “세상에 대한 환멸과 심리적 고통은 그의 세계관
위하게 소재를 구하였다.                                            을 성숙시키는 효과를 가져 온 듯하다. 그는 인간
                                                         과 자연을 한층 날카로운 눈으로 관찰하기 시작했
  그의 작품 속 대상에 대해 사실적 수법을 쓴 다                             다. 더 이상 외적인 화려함이나 연극적인 효과에 연
른 네덜란드 파의 화가와 다름이 없으나, 빛의 효과                             연하지 않았다. … 이는 중년을 맞은 그의 예술에
에 있어서는 색체 및 명암의 대조를 강조함으로써

12  2015 / 9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