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 - 201511
P. 11

기획






             게 됩니다. 또한 16세기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운동으로              른 신앙의 모습을 가지고 있었고 홀리클럽과 같은 경건
             인해 유럽 안에 구교회와 신교회의 갈등이 나타나고 그               생활을 고집하던 존 웨슬리와는 잘 맞지 않았습니다.
             가운데 경건주의운동이 시작됩니다. 영국에서는 청교도                  결국 존 웨슬리는 미국을 떠나 영국으로 귀환하게 되
             (Quakers), 그리고 독일 중심으로 경건주의(Pietism)가 나     었고 특별한 사제의 사역을 갖지 못하고 있었던 존 웨슬
             타납니다. 그리고 진젠도르프와 모라비안이 생겨납니다.               리는 영국에 있는 모라비안들과 다시 연락을 하고 만나
             그리고 모라비안 신도들과의 경험은 존 웨슬리에게 신앙               게 됩니다. 구원의 확신을 가지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더
             적으로 큰 전환의 계기가 됩니다.                          이상 설교도 신앙교육도 할 수 없다고 여기는 존 웨슬리
               미국 선교를 위해 조지아주 사반나로 향하는 존 웨               에게 피터 보엘러(Peter Boehler)는 좋은 조언자로 계속
             슬리는 배에서 모라비안 신도들을 만나게 되고 서툰 독               해서 신부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도와주었습니다. 이렇
             일어로 대화를 나눕니다. 순조로운 항해를 하던 중 미               게 모라비안과 계속 관계를 유지하던 존 웨슬리는 1738
             국으로 향하던 배가 나쁜 일기 속에서 풍랑을 만나 중               년 5월 24일 올더스게이트(Alersgate)가에 있는 모라비
             앙의 돛대가 부러지고 난파할 지경에 이르게 됩니다. 그              안 모임에 참석하여 마틴 루터가 종교개혁운동을 일으
             러나 이러한 폭풍 속에서 모라비안 신도들이 평온을 잃               키게 되는 직접적인 원동력이 되었던 로마서 1장 17절의
             지 않고 계속 찬송을 부르는 것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              말씀에 대한 마틴 루터의 주석의 말씀을 들으며 영적인
             리고 폭풍이 지나간 후 모라비안 신도들은 웨슬리에게                큰 회심을 경험하게 됩니다. 존 웨슬리의 일기에 의하면
             ‘자기들은 죽음을 두려워 하지 않기 때문에 그처럼 침착              “어떤 이가 루터의 로마서 주석 서문을 읽고 있었다. 9시
             하고 용감할 수 있었다’고 전해주었습니다. 그 후 목적지             15분 경, 그가 그리스도 안에 있는 신앙을 통해 그의 가
             에 도착한 존 웨슬리는 조지아 사반나에서 인디안을 위               슴 속에 일으키신 변화를 묘사할 때에 나는 내가 구원
             한 선교를 시작하기 위해 모라비안이었던 스팽겐베르                 을 위해 그리스도를 한 분만을 의지한다고 느끼게 되었
             그(Spangenberg)에게 조언을 구합니다. 스팽게베르그는          다. 또한 그가 다른 이들이 아닌 나의 죄들을 없이 하셨
             두 가지 질문은 합니다. 첫째는 ‘당신의 가슴 속에 믿음             으며, 죄와 죽음의 율법으로부터 바로 나를 구원하셨다
             의 확신이 있는가’ 하는 질문이었고 둘째는 ‘성령께서 당             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신이 하나님의 자녀임을 당신의 영에게 증언하고 있는가’                존 웨슬리의 올더스게이트 경험은 200여 년 전 마틴
             하는 질문이었습니다.                                 루터의 종교개혁운동을 시작하게 하였던 바로 그 말씀
               영국의 옥스퍼드 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하였고 신앙                인 로마서 1장의 말씀을 통해 구원의 확신을 가지게 되
             단체인 홀리클럽의 지도자로써 거룩하고 정결한 생활을                는 경험이었습니다. 그러나 마틴 루터가 가톨릭교회의
             하며 최소한 한 주에 한 번씩 성찬을 하고 개인적으로               부패로부터 개혁을 시작하였다면, 존 웨슬리는 경건한
             는 경건의 시간을 가지며 정기적으로 감옥을 방문하여                신앙생활과 구원에 대한 확신이라는 개인의 신앙생활에
             죄수들을 위로하고 매일 오후 한데 모여 3시간씩 성경               서부터의 변화를 시작하였다는 점에서 다르다고 볼 수
             및 신학 서적들을 공부하며 영국성공회의 신부로 안수                있습니다. 그래서 마틴 루터나 존 칼빈의 경우는 보다 더
             를 받고 영국성공회의 전통과 어머니로부터 물려받은 경               신학적인 논쟁과 주장이 강하고 반대로 존 웨슬리의 경
             건주의적며 규칙적인 신앙훈련을 받은 존 웨슬리였지만                우는 개인의 구체적인 신앙생활에 대한 면이 강조 되었
             쉽게 대답할 수 없는 질문이었고 이것은 그에게 큰 혼란              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과 회의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짧지만 아주 충               존 웨슬리의 감리교 운동은 영국 성공회로부터 받은
             격적인 모라비안과의 첫 경험 뿐 아니라 능력 있는 선교              영향과 북유럽의 경건주의 운동의 영향 그리고 동방기
             사로 목회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던 미국 선교에서              독교의 교부신학의 영향까지 다양한 신앙적 전통이 융
             존 웨슬리는 실패와 좌절을 경험하게 됩니다. 미국의 신              합되고 발전되어 더 발전적인 개신교회(Protestant
             앙인들은 영국의 홀리클럽의 사람들과는 아주 많이 다                Church)로 나아가게 됩니다. (259호에 계속됩니다)

                                                                                                 11
                                                                                     2015 / 11
   6   7   8   9   10   11   12   13   14   1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