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 - 201511
P. 10

기획 - 종교개혁 498주년 기념


           올해는 종교개혁 498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부패한 교회를 개혁하고, 신앙의 중심을 성직자에서 평신도로 바꿨던 이 엄청난 대변혁은
           신앙생활을 하고 있는 우리들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 사건일까요. 그리고 복음의 씨앗이 뿌려진 지 130년. 엄청난 부흥을 이뤄냈지만, 이
           제는 갈 길을 잃은 우리 한국 교회에 던지는 메시지는 무엇일까요.
           정동샘에서는 종교개혁 주일을 맞아 특집을 마련했습니다. 낮고 천한 자리로 오셔서 죽기까지 우리를 사랑하신 예수님의 사랑과 십자가
           의 보혈을 생각합니다.


                       존 웨슬리와 감리교회의 시작







                                                                                        박승준 목사

           1517년 10월 31일, 독일의 비텐베르그 성문에 붙은 마          들의 불만을 대변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이들의 동의와
          틴 루터의 95 항목의 가톨릭교회를 향한 신조문은 종교              지원으로 종교개혁이 시작되게 된 것입니다.
          개혁의 불씨가 되어 오늘날의 개신교(Protestant)의 시작           종교개혁 1세대라고 말할 수 있는 마틴 루터와 2세대
          이 되었습니다. 앞으로 2년 뒤에는 종교개혁 500주년을             로 여겨지는 존 웨슬리 사이를 몇 가지 관점에서 단순화
          맞이하게 됩니다.                                   시켜 비교할 수는 없지만, 마틴 루터와 존 칼빈의 경우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은 당시 가톨릭교회가 가지고                 는 위에서 본 것처럼 가톨릭교회의 부패와 세속화에 대
          있었던 구조적인 문제들 그리고 세속화 되어버린 교황청               한 저항과 신앙의 순수성을 지키기 위한 노력에서 비롯
          의 권위 등 여러 가지 종교적인 문제들이 원인이 되었습              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에 비해 종교개혁 2세대
          니다. 그러나 단순히 종교적인 문제 뿐 아니라 시대적 상             인 감리교회의 창시자인 존 웨슬리의 경우는 산업화로
          황이 종교개혁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었               인한 피해가 나타나는 사회현상 속에서 경건한 신앙인
          습니다. 면죄부의 판매를 통해 부를 축적하려고 하는 교              의 삶을 살고자 하였던 존 웨슬리의 개인적인 구원의 확
          황청과 면죄부 판매권을 확보하려고 하는 지역 교구들                신의 체험을 통한 경건운동에서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
          의 욕심은 결국 독일 교회의 성도들에 대한 착취로 이어              습니다.
          지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교회의 행동에 대한 루터의 반
          대는 면죄부의 옳고 그름을 넘어서 결국 교회가 성도들                 존 웨슬리는 영국 성공회의 사제인 아버지 사무엘 웨
          에게 착취와 협박을 가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슬리와 청교도 목사의 딸인 수산나 아네슬리 사이에 태
           루터에 의하면 ‘만약 교황에게 영혼들을 연옥에서 해               어난 19명의 자녀 중 15번째 자녀로 태어났습니다. 존 웨
          방시킬 힘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 그는 이러한 힘을 예              슬리는 그의 아버지로부터 고교회(High Church)정신과
          배당 건축과 같은 하잘 것 없는 이유를 위해서가 아니라              정통신앙(Orthodoxy)의 전통을 전해 주었습니다. 그래
          순수하게 영혼을 사랑하는 마음에서 아무런 대가도 받                서 존 웨슬리는 고교회의 영향으로 예전과 예식, 그리고
          지 않고 사용해야 한다’(82조)고 말하고 있습니다. 또한            구체적이고 잘 발전된 예배의 예식을 강조하였고 그것
          ‘가난한 사람들에게서 마지막 한 푼까지 착취 할 것이 아             이 감리교 안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되었습니다. 반대로 청
          니라 오히려 구제금을 베풀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베드               교도 목사의 딸인 어머니를 통해 저교회(Low Church)의
          로 성당을 팔아야 하는 것이 교황의 마땅한 임무’(51조)            영향을 받아 복음주의적인 요소와 경건생활에 대한 구
          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체적이고 규칙적인 생활을 지켜갈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루터의 95개조 신조문은 중세가 몰락하고 근                 18세기 영국은 산업화의 큰 파도가 가장 강하게 몰
          대화가 이루어지며 봉건사회가 아닌 경제력과 군사력으                아치던 곳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산업화가 이루어지기까
          로 국가형태로 변해가는 시대적 상황에서 “신성로마제                지 종교적으로 그리고 철학적으로 유럽은 이전 중세시
          국”에 속하여 이중으로 세금을 내야 하는 독일 내 귀족              대의 모습에서 르네상스의 영향으로 빠른 발전을 이루

       10         2015 / 11
   5   6   7   8   9   10   11   12   13   1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