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 - 20241112
P. 30
전도사님과 함께 한 기나긴 시간 너무나도 많 <벧엘 예배당에서 거행된 고 이승만 대통령의 장례식>
은 추억이 있었으나 기억 속에 남아있는 전도 1965년(김광우 목사 시무) 7월 19일 이승만
사님의 다양한 모습들을 떠올려 본다. 박사(장로)가 하와이 망명생활 중 서거하였
다. 특별비행기 편으로 시신을 운구, 김포공
<사역의 동반자 곽만영 전도사> 항을 거쳐 이화장에 빈소를 마련하고 7월 27
1957년(제 13대 박창현 목사 시무)에 전도사로 일 본교회에서 영결예배를 드렸다. 이때 전도
부임하였을 때 그 분 옆에는 또 한 분의 영적 지 사님은 젊은이들과 밤새워 가면서 벧엘예배
도자 곽만영 장로님(전도사)이 계셨다. 장로님 당 안벽을 온통 검은 천 장식으로 꾸며 조의
역시 정동 역사에 길이 남을 인물로 단짝이셨던 를 표했다. 3군 군악대와 태극기를 덮은 관
두 분을 통한 하나님의 사랑과 은덕을 잊을 수 이 성가대석 바로 내 앞에 자리하여 매우 엄
가 없다. 항상 문을 먼저 두드리며 찾아오는 두 숙하고 장엄한 의식을 가까이 볼 수 있었기에
전도사님을 교우들은 영적 부모님으로 따랐고, 전도사님과의 이날의 기억은 나에게 있어 더
좋아했고, 존경했고, 또 신뢰했다. 두 분은 항상 욱 특별한 기억이 되었다. 장례식에는 성가대
교우들과 삶을 나누기를 원하셨고 하나님이 예 원 이외에는 참석자가 극히 제한되어 있었고
비하신 두 분의 훌륭한 인격과 위트와 유머는 소프라노 이인숙씨가 조가 “멀리, 멀리 갔더
교우들에게 큰 활력이 되었다. 니”(찬 387장)를 불렀다. 여호사밧왕의 때와
같이 찬양대가 선두차로 동작동 국군묘지 현
<해외 선교의 태동을 이룬 청년부 농촌선교 봉사활동> 충원으로 향할 때에는 서울 시내 4대문 안이
1962년 청년부 시절 3년 내내 부회장으로 농 전면 통제되어 있었고, 용산길과 노량진길 가
촌 봉사활동 대열 선두에 서게 된 나는 인천 도는 인파로 붐벼 사상자까지 속출하는 광경
앞바다 대무의도에 교회를 세워주는 일에 동 을 목격하기도 했다. 전도사님의 노고가 빛을
참하게 되었다. 당시 인천지방 감리사로 계셨 발한 이날의 행사로 인해 나는 교회와 하나
던 김봉록 감리사와의 인연이 이때 시작되었 님에 대한 사랑이 더욱 깊어졌다.
다. 대무의도 지역은 열악한 환경 가운데 본
토와 교류가 자주 일어나지 않는 곳이었고 지 <여선교회>
역민들은 전도사님을 앞장 세운 우리의 일행 전도사님은 교회의 중요한 살림을 1950년대
의 모습을 보고는 매우 신기해하였던 기억이 부터 도맡아 해오셨다. 그러다가 1978년 4월
난다. 이 선교활동이 그다음 해인 1965년 말 수유리 아카데미 하우스 임원 수련회에서 여
레이시아 사라왁 해외선교(김성욱 목사)를 선교회의 발전을 위해 문태임 장로의 발의로
가능케 한 원동력이 되었다. 전도사님은 청년 여선교회를 3부(한나회, 레아회, 사라회)로 나
부, 교회학교, 성가대, 수련회 등을 망라한 모 누기로 의견이 모아졌다. 나는 30-40대 한나
든 교회 행사의 안 보이는 자리에서 섬김의 회 초대 회장으로 전도사님의 지명을 받았다.
본이 되어주셨다. 아직도 몸빼바지에 앞치마 여선교회는 그다음 해인 1979년 1, 2, 3 여선
를 두르고 주방을 지휘하던 전도사님의 모습 교회로 다시 나누어졌고, 그 후 7여선교회, 또
이 눈에 아른거린다. 10여선교회로 확장을 거듭하며 오늘날까지 이
30 CHUNGDONGS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