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0 - 2025-summer
P. 60
문화 광장 음악산책
더블베이스로 섬기는 찬양
김수민 성도
시온 성가대 앙상블
안녕하세요 더블베이스로 3부 예배를 콘트라베이스는 들어봤지만 더블베이스
섬겼던 김수민입니다. 중학교 3학년 때부 는 처음 들어보는 분들이 많을 거라 생각
터 악기를 시작해서 열심히 달려온 제가 하는데요, 콘트라베이스는 독일어인 콘트
가장 많이 음악에 대한 도움을 받고 은혜 라바스와 영어로는 더블베이스인 단어를
를 받은 곳은 교회가 아닐까 항상 생각합 합친 합성어입니다. 현악기 중에서는 가
니다. 왜 그럴까 곰곰이 생각해 보면 여러 장 저음을 담당하고 있고, 크기 또한 다른
악기들과 함께 앙상블을 할 수 있는 기회 악기들에 비해 훨씬 큽니다. 평균 크기가
도 쉽게 오지 않는 경험이란 것을 알기 때 180cm에서 200cm까지인 만큼 무게도
문에 더 열심히 임했고, 그로 인해 많은 무겁고 부피도 크기 때문에 악기를 들고
음악적 지식들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입 다니기에도 살짝 어려움이 있습니다.
니다. 이 글에서는 이처럼 제 인생의 일부 그런데 악기 크기가 크면 활의 길이도
분을 담당하고 있는 더블베이스에 대해 가장 길까?라고 생각하신 분도 계시겠지
소개해 보려 합니다.
만 사실 활 길이는 모든 현악기 중에서 가
장 짧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현이 굵은
만큼 활이 길면 미세한 조절을 하기 힘들
고 힘을 제대로 보낼 수 없다는 데에 있습
니다.
더블베이스와 교회음악에 대한 연관성
은 16세기 때부터 있었다고 합니다. 요즘
에는 더블베이스를 오케스트라나 재즈 음
악에서 자주 들을 수 있지만 더블베이스
가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한 16세기에
는 교회음악이나 실내악에서만 쓰이고,
가장 저음 부분을 담당하며 오르간과 첼
로와 함께 화음을 구성했다고 합니다. 부
활절이나 크리스마스 칸타타, 칸타타가
아니더라도 매주 있는 찬양을 연주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