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 - 직교좌표-극좌표
P. 5

2
                                  2
                                        2
                      r  =  √(x   +  y   +  z ),
                      sin  θ  =  z/r
                      tan  φ  =  y/x


                  직교좌표와  극좌표의  특징을  보면  실제  생활에  적용하는  것은  극좌표다  편리함을
                  알  수  있다.  직교좌표를  우리  생활에  이용한다면  실제  생활에  적용하기가  너무도

                  복잡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어서  알아볼  지구의  위도와  경도,  지평좌표계의  고
                  도와  방위각,  적도좌표계의  적위와  적경  등은  모두가  극좌표계로  표시하는  것이  대
                  단히  이해하기가  쉽다.


                  (예제  1)  우리  실생활에서  사용할  때  왜  직교좌표보다  극좌표가  편리한  것인지  설명해  보
                  자.  또  그  이유가  무엇  때문인지  설명해보자.


                  (예제  2)  직교좌표로  P(1,1)을  극좌표로  표시하면  어떻게  될까?


                  (예제  3)  관측  지점에서  어떤  목표점까지의  거리가  250m이고,  그  목표점의  방위가  정북에
                  서  30도  동쪽으로  떨어졌다면  직교좌표로는  얼마인가?  단,  관측  지점에서  북쪽  방향을  y축
                  이라  가정한다.




                  2.  지구의  위도와  경도



                  (1)  대원과  소원


                    1)  대원(大圓,  great  circle)
                       완전한  구(球,  sphere)를  자르면  그  단면은  항상  원이  된다.  그  단면  중에서

                     구의  중심을  지나도록  자른  단면을  이루는  원을  대원이라  한다.  이  대원의  반
                     지름은  항상  구의  반지름과  같게  된다.

                    2)  소원(小圓,  small  circle)
                       완전한  구를  자르면  그  단면은  항상  원이  되는데,  이  원들  중에서  중심을  지
                     나지  않도록  자른  무수히  많은  종류의  원들을  모두  소원이라  한다.  이  소원의

                     반경은  항상  구의  지름  보다  작게  된다.
















                                                          -  5  -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