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 - 직교좌표-극좌표
P. 15

지구에서  관측한  태양은  하늘에  고정된  것으로  보이는  별자리  위를  일정한  경

                    로를  따라  운행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렇게  지구에서  볼  때  태양이  천구  위를
                    운행하는  경로를  황도(黃道,  ecliptic)라  한다.  따라서  황도는  지구  궤도면을  하
                    늘에  연장했을  때  천구와  만나는  경계면이기도  하다.
                      <그림  1>에서  보듯이  황도와  천구적도와  서로  어긋나  약  23.5°의  경사각을
                    이루고  있으며,  이를  황도경사각이라  한다.  이  황도경사각은  지구의  자전축이

                    지구의  공전  궤도면의  수직한  방향에  대하여  23.5°  경사각을  이루고  있기  때문
                    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2)  춘분점과  추분점


                      황도와  적도는  두  점에서  서로  교차하게  된다.  태양이  남반구에서  북반구로

                    이동할  때  교차되는  점을  춘분점(Vernal  equinox)이라  한다.  반면에  북반구에
                    서  남반구로  운행하다  교차되는  점을  추분점(Autumnal  equinox)라  한다.  그리
                    고  태양이  적도  위를  운행할  때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점을  하지점(Summer
                    solstice)이라  하고,  적도  야래  가장  낮은  점의  위치를  동지점(Winter  solstice)

                    이라  한다.
                      태양이  황도를  따라  운행할  때  태양이  춘분점에  위치한  날을  춘분날이라  하
                    고,  추분점에  위치한  날은  추분날이라  한다.  마찬가지로  하지점에  위치하는  날
                    을  하지날,  동지점에  위치하는  날을  동짓날이라  하다.  태양이  황도를  따라  운행
                    할  때  춘분점에서  출발하여  다시  춘분점에  되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이  1  태양
                    년이라  한다.  1  태양년의  평균  길이는  365일  5시간  48.8초로서  365.2422일이

                    다.
                      태양력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춘분날이  항상  같은  날인  3월  21일에  오도록
                    달의  크기와  날짜를  배열한  것이다.  항상  태양이  춘분점을  통과하는  날을  같은
                    날이  오도록  하기  위해서는  1태양년의  길이를  달력의  1년  길이인  역일과  일치

                    시키는  것이다.  현재  1년의  역일은  365.2425일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3300
                    년  정도에  1일  정도가  차이가  나는  달력을  사용하고  있는  셈이다.


                    (3)  적위와  적경


                      천구북극과  천구남극을  지나면서  천구상에  있는  임의  천체를  지나도록  원호

                    를  내리면  대원이  되는데  이를  시권(hour  circle)이라  한다.  이  시권은  천구적
                    도와  수직하게  만난다.  시권과  만난점과  천체와  이루는  원호의  중심각을  적위
                    (declination)이라  한다.  흔히  약자로  δ를  사용한다.  <그림  2>에서  보듯이  별  X
                    를  지나는  시권과  천구적도와  만난점(X')과  천체를  연결했을  만들어지는  XX'의

                    원호의  중심각이  적위가  된다.  별의  적위  δ는  천구에서  북반구에  있는  별들은





                                                         -  15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