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 직교좌표-극좌표
P. 19

Caesar  BC100-BC44)가  알렉산드리아의  천문학자인  소시게네스(Sosigenes)의  천

                    문학적인  조언을  받아  개력을  단행하여  사용한  것이  처음이다.  이  태양력은  BC
                    46년  1월  1일부터  사용되었으며  이를  율리우스력이라  한다.  율리우스력은  1태양
                    년의  길이를  365.25일을  역일(曆日)로  정하여  평년은  365일로  하고  4년마다  윤년
                    을  두어  366일로  사용하였다.  이  달련을  율리우스력(Julius  calendar)라고  한다.
                      그러나  율리우스력은  실제의  1태양년인  365,2422일과는  0.0078일인  11분  14초

                    가  길다.  이  때문에  128년이  지날  적마다  춘분날이  하루씩  당겨지다가  1620년  정
                    도  지난  1582년이던  해는  10일  이상  옮겨가게  되어  3월  10일  경이  춘분날이  되
                    었다.  춘분날의  날짜가  옮겨가게  되면  기독교에서  중요한  부활절의  날짜도  함께
                    옮겨가게  되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1582년  그레고리  13세(1572-1585)
                    는  개력을  단행하게  되었다.  우선  춘분날을  3월  21일로  하고  1년의  길이를

                    365.2425일로  하는  새로운  달력을  사용했는데  이를  그레고리력(Gregorian
                    calendar)이라  한다.


                    표  2.  24기에  따른  황경과  그  날의  양력일자

                    24    태양    양력일      24    태양    양력일      24    태양    양력일      24    태양     양력일
                    기     황경     (월일)    기     황경     (월일)    기     황경     (월일)    기     황경     (월일)
                   춘분          0  03  21  하지     90  06  21  추분     180   09  23  동지     270    12  22

                   청명        15  04  05  소서    105   07  07  한로     195   10  08  소한     285    01  06
                   곡우        30  04  20  대서    120   07  23  상강     210   10  23  대한     300    01  21
                   입하        45  05  06  입추    135   08  08  입동     225   11  07  입춘     315    02  04

                   소만        60  05  21  처서    150   08  23  소설     240   11  22  우수     330    02  19
                   망종        75  06  06  백로    165   09  08  대설     255   12  07  경칩     345    03  06



                      이  역법은  춘분날을  3월  21일로  맞추기  위해  개력하는  기점인  1582년  10월  4
                    일(목)  다음날을  10월  15일(금)로  사용하여  역에서  10일을  끊어내고  사용했다.  그
                    리고  1태양년의  길이를  365.2425일의  역일로  정하기  위해  400년간  97회의  윤년
                    을  두도록  하였다.

                      춘분점을  기준으로  하여  태양이  운행하는  황도를  따라  15°  간격으로  나누면  24
                    개의  위치가  나온다.  태양이  황도를  따라  운행하다가  이  24개의  위치를  각각  통
                    과하는  날이  24기의  날짜가  된다.  예를  들어  춘분점을  통과하는  날이  춘분이고,
                    다음  15°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지나는  점의  위치에  따라  청명,  곡우,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입동,  소설,  동지,  소한,  대한,

                    입추,  우수,  경칩  등의  24기가  된다.  따라서  24기의  날짜는  양력일과  거의  같은
                    날이  되기  때문에  양력의  의미를  가지게  된다.
                      표  2에서  보듯이  24기는  태양이  황도상의  경도인  황경을  15°  간격으로  나누어






                                                         -  19  -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