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 - 직교좌표-극좌표
P. 12
들을 주극성(circumpolar stars)이라 한다.
< 그림 10 > 천체의 위치에 따라 출몰과 남중하는 모습
반대로 천구남극을 중심으로 관측지 위도와 같은 범위에 있는 별들은 어떠한
경우라도 지평선 위로 올라오지 못한다. 이 별을 보려면 지구의 남반구에 가야만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별들을 전몰성이이라 한다.
(4) 천체의 고도와 방위 변화
위의 <그림 10>에서 보듯이 모든 별들은 동쪽 지평선에 떠오르고 서쪽 지평선에
지는 별들의 위치가 모두 다르다. 어떠한 천체라도 지평선에 떠올라 이동하는 경로
는 모두 원호로 나타난다. 따라서 지평선에 떠올라서 질 때까지 고도를 측정하면
서서히 증가되었다가 서서히 낮아진다. 별의 고도가 가장 높아질 때, 별은 천구자오
선 상에 오게 되고, 이 때 고도는 최대가 된다. 또한 별의 방위도 계속 변한다. 별
o
이 남중할 때 방위각은 180 가 되고 별은 정남쪽에 오게 된다.
따라서 모든 천체는 지평선에 떠올라서 질 때까지 고도와 방위각은 계속 변한다.
특히 천체가 자오선을 지나는 현상을 남중(meridian transit time)이라 하고, 이때
고도를 남중고도라 한다. 어느 천체든지 남중고도가 하루 중 고도가 가장 높다. 태
양의 경우를 보면 자신이 서 있는 지점과 태양을 연결하면 직선이 되는데 이 직선
과 지평면이 수직하게 이루는 각도가 고도가 된다. 그리고 직선이 향하고 있는 방
향이 태양의 방위가 된다. 따라서 태양이 천구자오선에 올 때 태양의 고도는 하루
중 최대가 되고 이때 고도가 태양의 남중고도가 된다. 그리고 남중할 때의 태양의
o
방위는 정남향이 되고 방위각은 180 가 된다.
태양의 경우 별자리 위에서 위치가 변하기 때문에 매일 태양이 떠서 지는 위치가
변한다. 이 때문에 태양은 계절에 따라 하루 동안 고도의 변화를 보면 <그림 3>과
같다. 하루 중 가장 태양의 고도가 가장 높을 때인 남중고도를 비교해보면 하지로
-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