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 - 직교좌표-극좌표
P. 11

<  그림  9  >  지평좌표계에서  본  고도와  방위각


                    또는  천체와  관측자의  위치를  직선으로  연결했을  때  그  직선과  지면과  수직하게

                  이루는  각도를  고도라  한다.  또는  막대기를  지면에  세웠을  때  그림자  끝과  막대기
                  의  끝을  연결하면  직각삼각형이  된다.  이  직각삼각형의  빗변과  밑변  사이의  각도
                  가  고도가  된다.  천정에서  특정한  별까지  이르는  호의  중심각을  천정거리(zenith
                  distance)라  하며,  이것은  고도의  여각이  된다.
                    또  북점에서  지평선을  따라  특정  천체를  지나는  수직권과  지평선과  만난점에  이

                  르는  각도를  시계방향으로  잰  각도를  방위각(azimuth)이라  한다.  하늘에  있는  모
                  든  천체들은  고도와  방위각으로  위치를  정할  수  있다.


                    (3)  남중과  남중고도



                    지구의  자전축을  연장하면  지구를  둘러싼  천구와  두  점에서  만나게  된다.  북반구
                  에서  만나는  점을  천구북극이라  하고  남반구에서  만나는  점을  천구남극이라  한다.
                  천구에  붙어  있는  것으로  보이는  천체들은  시간에  따라  지구  자전축을  연결한  축
                  을  기준으로  하루에  일회전하게  된다.  지구의  관측자가  보면  모든  천체들은  천구
                  북극을  중심으로  동쪽  방향  또는  동쪽  지평선에서  떠올라  서쪽  방향으로  원호를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때문에  어떠한  천체든지  하루에  한번  씩  천구

                  자오선을  가로지르며  통과한다.
                    이  때  특정한  별이  천구자오선에  오는  현상을    남중(meridian  transit)이라  하고,
                  그  때의  고도를  남중고도,  그  때의  시각을  남중시각이라  한다.  천체는  동쪽  지평선
                  에  떠올라  서쪽지평선으로  원호를  따라  이동하면서  고도는  점점  증가하는데  자오

                  선에  왔을  때  가장  고도가  높다.  따라서  천체의  남중고도는  하루  중  가장  높게  된
                  다.  <그림  2>에서  보듯이  천구북극의  고도는  관측자의  위도와  같게  된다.  이  때
                  천구북극을  중심으로  관측지  위도와  같은  범위에  있는  별들은  지평선  아래로  내려
                  가지  않기  때문에  계절에  관계없이  항상  밤에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영역의  별





                                                         -  1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