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 - 직교좌표-극좌표
P. 18

<  그림  15  >  구면으로  표시한  황도좌표계  (관측자  중심에서  본  천구)


                    적도좌표계에서  적위와  적경을  정의하여  별의  위치를  정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황
                    도를  기준으로  하여  별의  위치를  정할  수  있다.  <그림  15>에서  보듯이  황도북극
                    이나  황도남극에서  천체를  지나도록  대원의  호를  내리면  황도면과  수직하게  만난
                    다.  황도면에  만난점에서  천체까지  이르는  대원  호의  중심각을  황위(ecliptic

                    latitude)라  하고  약자로  β로  표시한다.  황위는  황도를  기준으로  북쪽  방향을  0                      o
                                        o
                                                  o
                             o
                    에서  +90 ,  남쪽은  0 에서  –90 로  구분한다.
                    그리고  황도상의  춘분점에서  천체를  지나는  대원과  만난점을  황도를  따라  동쪽
                    방향으로  잰  각도를  황경(ecliptic  longitude)라  하고  약자로  λ를  사용하다.  황경
                                                               o
                                                                        o
                    은  황도를  동쪽  방향으로  각도를  정하여  0 에서  360 까지  정하여  사용한다.  황도
                                                                             o
                    는  적도좌표계와는  달리  황위와  황경  모두  각도의  도분초(   ‘  “)를  사용한다.
                    적도좌표계는  관측자가  천체를  관측하여  시간과  관련된  내용을  다룰  때  주로  사
                    용한다,  반면에  황도좌표계는  태양계  내  행성과  같은  천체가  운동하는  원리를  다
                    룰  때  편리하다.





                    (2)  태양의  위치와  태양력


                      현대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태양력은  고대  로마시대  율리우스  케자르(Julius






                                                         -  18  -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