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7 - 1801
P. 87
생활지혜 안경 빛과소금 85
만 칠판의 글씨가 잘 보이지 않으면 공부에 흥미를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안경을 쓰는 것이 좋다. 하지만 8살 이전에 시력이 나쁜 경우에는 2~3살
이라도 꼭 안경을 써야 한다. 사람의 시력은 보통 8세까지 천천히 발달
한다. 이때 아기가 눈이 나쁜 것을 모르고 안경을 쓰지 않으면 시력 발달
에 문제가 생겨 약시가 될 수 있다. 약시는 시신경이 제대로 발달하지 못
해 사물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에는 나중에 안경
이나 수술로 시력을 교정해도 사물을 명확하게 볼 수 없다.
TIP 안경, 이제 똑똑하게 맞추자!
근시가 심한 경우를 두고 마이너스(-) 시력이라는 표현을 쓴다. 하지
만 시력에 마이너스(-)는 없다. 마이너스 렌즈만이 있을 뿐이다. 마이너
스 렌즈는 근시를 교정할 때 쓰는 오목렌즈를 말한다. 오목렌즈는 들어
오는 빛을 눈 안에서 적게 꺾이게 해서 시력을 교정하기 때문에 마이너
스 렌즈라고 부른다. 반면 볼록렌즈는 플러스 렌즈라고 한다. 두 렌즈 모
두 절댓값이 클수록 시력이 나쁘다는 것을 의미한다.
렌즈를 압축한다는 것도 잘못된 말이다. 눈이 나쁠수록 렌즈의 두께
는 두꺼워진다. 굴절률을 높이기 위해서다. 이때 안경점에서는 소위 ‘압
축 렌즈’를 쓰길 권한다. 압축렌즈라는 표현 때문에 보통 렌즈에 힘을 가
해 렌즈를 압축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보통 렌즈에 비해 굴절률
이 더 높은 재질로 만든 렌즈를 말한다.
“어떻습니까? 여러분! 안경에 대한 진실을 이제 아셨죠? 안경이 절대
눈을 더 나쁘게 하거나 못생기게 만들지 않는다고요! 오히려 요즘은 패
션 아이템으로도 활약하고 있답니다. 안경테의 색이나 모양에 따라서
다른 분위기를 낼 수도 있고 단점을 감추고 장점을 부각시킬 수도 있지
요. 이래도 정녕 안경을 없앨 셈이세요?”
[참고자료] 나쁜 건 모두 안경 탓? 안경에 대한 오해와 진실! (KISTI의 과학향기 칼럼, KISTI)
[ 출처 ] 선글라스에 대한 올바른 상식 (대한안경사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