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 - 2025-spring
P. 4
목회 공감
절망 가운데 필요한 것, 소망
담임목사 김창훈
인생은 때때로 우리를 깊은 절망의 자 12년간 혈루증을 앓아 몸도 마음도 지
리로 몰고 갑니다. 우리는 상실, 질병, 깨 친 여인은 세상에 철저히 외면받고 있었
진 관계, 실패를 경험하고서 흔들립니다. 습니다. 두 사람 모두 주위 사람들에게
그 순간, 소망은 먼 꿈처럼 느껴집니다. “이제 그만 포기하라!”는 말을 들었을
소망은 고통받는 우리를 조롱하는 환상 것입니다. 그러나 이들은 가장 어두운 시
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세상은 우리에게 간에 빛이신 예수님께 나아가 손을 뻗었
“현실을 받아들여라!” “변화된다는 희망 습니다. 바로 그 순간, 모든 것이 변했습
을 버려라!” 말하며, 정해진 운명에 굴복 니다.
하라고 종용합니다.
이 이야기는 단순한 기적 이야기가 아
하지만 그때, 예수님이 개입하십니다. 니라, 예수님이 누구신지를 알려주는 이
마태복음 9장 18절부터 26절의 이야기 야기입니다. 예수님은 사람들이 주목하
에서, 우리는 절망적 상황이 극적인 회복 지 않는 자를 주목하시며, 사람들이 만
으로 이어지는 이야기 둘을 만납니다. 회 지기 싫어하는 자를 만지시며, 의심의
당장 야이로는 딸이 눈앞에서 죽어 가는 목소리를 잠재우시며, 죽음이 지배하는
모습을 속수무책으로 지켜보았습니다. 곳에 생명의 도래를 선포하십니다.
4 Simin Nuriae